2025년 6월 고1 영어모의고사 지문 해설

2025년 6월 고1 41~42번 영어모의고사 지문 해설

titi-100 2025. 6. 6. 11:04
728x90

💳 2025년 고등 영어 모의고사 41번

“신용카드가 뇌를 마비시킨다고?”

✨ 영어 지문 분석: 제목(Title) 찾기 문제

이번에는 영어 시험에서 중요한 제목(Title) 찾기 문제를 분석해볼게요!
이 문제는 지문 전체를 읽고, 가장 잘 요약하고 상징적인 표현을 선택해야 하는 유형입니다.

이번 지문은 현금과 카드 결제가 소비자 심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,
특히 신용카드가 지불의 고통을 무디게 만든다는 실험적 근거를 중심으로 전개돼요.

✅ 문제 풀이 팁 (제목 찾기 문제)

🧠 제목은 다음 3가지 기준으로 고르세요!

1️⃣ 전체 지문을 포괄하는가?
→ 뒷부분 실험(경매 사례)까지 포함하는 제목이 적절해요.

2️⃣ 핵심 메시지를 함축하는가?
→ 신용카드는 지불을 쉽게 느끼게 하고, 그래서 더 많이 소비하게 만든다는 게 핵심.

3️⃣ 너무 좁거나 너무 넓지 않은가?
→ “실험 이야기”만 담은 제목은 지나치게 좁고, “소비 전반”은 너무 넓어요.

👉 따라서, 제목은 다음과 같은 방향이 적절해요:
“How Credit Cards Numb the Pain of Spending”
또는
“The Psychological Cost of Paying with Plastic”

41번) 정답은 ② Why Do We Spend More with Credit Cards? 입니다. 

이미 다들 풀어봤겠지만, 이제 지문을 하나하나 파헤쳐 봅시다!~

 

📘 (41번 ~42번 지문)영어 지문 + 끊어읽기 + 한 줄 해석

 

Paying with plastic / fundamentally changes the way /we spend money, /
카드 결제는 / 방식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꾼다, /우리가 돈을 쓰는 

altering the calculus of our financial decisions.
우리의 재정적 결정 방식(계산법)을 바꾸면서.

👉 카드 결제는 소비 습관을 바꿈       

   * altering ~: 앞 문장 내용(지불 방식 변화)을 설명하는 분사구문  (원래는 , and it alters~) 

When you buy something with cash, /
현금으로 무언가를 살 때는,

the purchase involves an actual (a)loss— /
그 구매는 실제적인 손실(a)을 수반한다—

your wallet is literally lighter.
지갑이 실제로 가벼워지기 때문이다.

    *해석도움: the purchase involves an actual loss   👉 “그 구매는 진짜 손실을 동반한다” -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여기서 involve 는 “수반하다, 포함하다”  actual loss 는 "실제 손해" → 돈이 빠져나가니까 손해라는 느낌!

Credit cards, however, / make the purchase abstract, /
그러나 신용카드는 / 구매를 추상적으로 만든다,

so that you don’t really feel / the downside of spending money.
그래서 당신은 잘 느끼지 못하게 된다./ 돈을 쓰는 부정적인 느낌을 

 
👉 카드 사용은 소비의 고통을 덜 느끼게 함  *make A B : A를 B로 만들다

Brain-imaging experiments suggest /
뇌 영상 실험에 따르면,

that paying with credit cards actually (b)reduces activity /
신용카드로 결제하면 (b)뇌의 활동을 감소시킨다고 한다

in the insula, / a brain region associated with negative feelings.
insula 에서 /부정적인 감정을 담당하는 뇌 부위인 

👉  카드 결제는 감정적 ‘고통’ 반응을 줄임

As George Loewenstein, a neuroeconomist, says, /
신경경제학자인 조지 로웬스타인의 말에 따르면, /

“The nature of credit cards / ensures that your brain /
신용카드의 본질은 뇌가 / 당신의 뇌가 ~하도록 만든다 /

is anesthetized against the pain of payment.”
지불의 고통에 대해 마취되도록 (즉, 그 고통을 못 느끼게 된다)


👉 ‘지불 고통’을 마비시킴

Spending money doesn’t feel (c)bad, / so you spend more money.
돈을 쓰는 것이 (c)나쁘게 느껴지지 않으니, / 더 많은 돈을 쓰게 되는 것이다.

Consider this experiment: /
이 실험을 생각해보자:

Drazen Prelec and Duncan Simester, two business professors at MIT, /
MIT의 두 경영학 교수인 드라젠 프렐렉과 던컨 시미스터는

organized a real life, sealed-bid auction / for tickets to a Boston Celtics game.
실제 비공개 입찰 경매를 열었다 / 보스턴 셀틱스 경기 티켓을 놓고.

Half the participants /were told to pay with cash; /
참가자의 절반은 / 현금으로 결제하라고 들었고,

the other half/  had to pay with credit cards.
나머지 절반은 /신용카드로 결제하라고 들었다.

👉 Prelec and Simester then averaged the bids / for the two different groups.
그 후 프렐렉과 시미스터는 입찰 가격의 평균을 냈다 / 두 그룹 각각에 대해.

It turns out that /  the average credit card bid / was twice as (d)high / as the average cash bid.
드러났다   / 결과적으로 신용카드 그룹의 평균 입찰가는 / 두 배나 높았다 / 현금 그룹의 평균 입찰가보다 

When people used their credit cards, / their bids were much more (e)careful. 
사람들이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, / 그들의 입찰은 훨씬 더 (e)신중하지 않았다 → 오답!

👉 ❗ 여기서 careful은 문맥상 틀림 (↔ careless 또는 impulsive가 맞음)

They no longer felt the need to limit their expenses.
그들은 더 이상 소비를 제한해야 한다는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.
👉  카드 사용은 자제력을 약하게 함

📌 핵심 문법 포인트

  • altering ~: 앞 문장 내용(지불 방식 변화)을 설명하는 분사구문
  • so that + 문장: ~하도록, 결과적 목적 표현
  • twice as ~ as ~: 두 배 ~한 비교 구문
  • be anesthetized against ~: ~에 대해 무감각해지다 (마취되다)

 

📝 단어 요약 

• fundamentally: 근본적으로    abstract: 추상적인, 비현실적인  downside: 단점, 불리한 점   make A B: A를 B로 만들다
• feel the downside: 단점을 느끼다  • calculus: 계산법, 판단 방식   • loss: 손실
• insula: 뇌의 부위 • anesthetize: 마취시키다 • sealed-bid auction: 봉인 입찰 경매
• bid: 입찰하다 • reduce: 줄이다 • careful: 신중한 • impulsive: 충동적인

 

Paying with credit cards makes spending feel less painful, which leads people to spend more than they would with cash.

 

42번)❌ 정답: (e) careful


❓ 이유:

  • 앞 문장에서는 사람들이 카드를 쓸 때 더 많이 지출하고, 통제하지 못한다는 흐름이야.
  • 그런데 **careful (신중한)**은 ‘지출을 조심한다’는 뜻이니까, 문맥에 맞지 않아.
  • 오히려 "less careful", "careless", "impulsive" 같은 단어가 더 자연스럽지.
728x90
반응형